와이어프레임
Wireframes제품의 모든 부분을 보여주는 흑백으로 그린 개념도나 그림
참여자
UXUI 전문가
소요시간
시스템의 범위에 따라 다름. 한 스크린 당 보통 2 ~ 4시간.
난이도
중간
이럴 때 사용해요
- 제품 디자인의 세부사항들을 결정할 준비가 되어있을 때
이렇게 해보세요
- 와이어프레임을 그릴 도구를 선택한다.
- 제품의 해상도를 정하고 설명을 적을 공간을 만든다.
- 내용을 구성해 와이어프레임을 그린다.
- 팀원들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반영한다.
상세 내용
- 도구를 선택한다 : PPT, Sketch, Figma, XD, 발사믹, 키노트, 액슈어, 옴니그래플, 비지오 포토샵 등 와이어프레임에 사용될 도구를 선택한다.
- 템플릿을 만든다 : 기기와 해상도를 결정하고 정보를 적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템플릿을 만든다.
- 와이어프레임의 내용을 구성한다 : 와이어프레임으로 전환하려는 스케치를 모두 모은다. 아직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는 화면이 있다면 디지털 와이어프레임을 만들기 전에 시간을 내어 스케치를 시작하라.
- 와이어프레임을 시작한다
- 순서와 상태 : 사용자들은 어떻게 해서 이 화면/부분에 들어오며, 여기에서 어디로 갈 것인가? 사용자의 진입 경로에 따라 상태가 다른가?
- 정보의 밀집도 : 해당 화면 에서의 주된 메시지나 동작은 무엇인가? 어떤 것이 제일 먼저 눈에 띄어야 하는가?
- 그리드 : 디자인은 깔끔하고, 균형 잡혀 있고, 잘 정리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는가?
- 디자인 원칙 : 제품 내의 화면은 앞서 만들었던 디자인 원칙에서 표현한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는가?
- 에러 메세지와 상태 : 기능이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보게 되는 것은 무엇인가?
- 팀원을에게 공유하여 다음 내용을 체크한다.
- 말이 되는 디자인인인가?
-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기대하는 것과 일치하는가?
- 흐름 또는 화면에 이상한 구석이 있는가?
- 디자인의 특정 부분과 상호작용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지 의견을 받는다.
- 디자인한 내용이 그들의 기대에 부응하는가
Tip
- 사람들에게 중간중간 꼭 보여준다. : 작업 시간을 줄여주고 현실성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. 동료들에게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.
- 그리드(타일)로 작업 한다 : 일관되고 균형잡힌 깔끔한 디자인을 만드는 것에 도움된다.
- 도구의 호환성을 고려한다 : 공유할 사람들이 와이어프레임을 얼마나 수정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라.
- 흑백으로 작업 한다 : 화면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에 집중하기 위함이다.
와이어프레임 인쇄용 워크시트
다운로드와이어프레임 피그마 워크시트
바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