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비스 리서치

Service Research
사용자가 기대하는 사용성의 표준이 되는 UX 사례에 대한 조사. 실제 경쟁 서비스가 아닌, 사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할만한 제품들을 살펴보는 것.
참여자
UXUI 전문가, 팀 구성원
소요시간
4-8시간
난이도
중간

이럴 때 사용해요

  • 새로운 사용자 경험에 대한 비전과 기대를 설정할 때
  • 팀이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경쟁 제품과 일대일로 비교하는데 치중하고 있을 때
  • 다른 제품과 비교만 하면서 구체적 제안을 하지 못할 때

이렇게 해보세요

  1. 어떤 제품을 평가지, 제품의 어떤 것을 평가할지 결정한다.
  2. 비교 제품들을 천천히 훑어본다.
  3. 각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 평가틀을 항목별로 작성한다.
  4. 작성한 내용을 비교하며 인사이트를 정리하고 팀원들과 공유한다.

상세 내용

  1. 어떤 제품을 평가할 것인지 결정한다.
    • 평가에 포함 되어야 할 제품의 리스트를 작성(5개정도)한다.
  2. 제품의 어떤 것을 평가할지 결정한다.
    • 평가할 때 사용할 틀(framework)을 결정한다. 스프레드시트 세로줄에는 평가용 질문, 가로에는 제품
    • 주요 항목: 콘텐츠, 디자인, 특징과 기능, 연속성(continuity)혹은 흐름(flow), 직관성, 장점/단점/기회
  3. 각 제품을 찬찬히 훑어본다.
    • 2번에서 작성한 집중해서 볼 부분 염두에 두고 제품평가 시작한다.
    • 화면 캡처, 각 제품에 대한 평가 기록한다.
  4. 평가 항목을 채운다.
    • 각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평가 후에 평가틀의 해당 항목을 채워두고 비교가 용이하게 만든다.
  5. 발견한 내용 혹은 가이드라인을 요약한다.
    • "가이드라인" 문서의 평가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아이디어들을 기록한다. =? 이부분 다시 작성한다

Tip

  1. 단순한 기능 너머를 본다. : 사용자 경험의 전반적인 질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. 기능 리스트를 만들어낼 생각을 하지 말고 제품의 전반적인 흐름이어떠한지 생각해본다. - 디자인이 일반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? - 일관성이 있는가? - 콘텐츠의 가독성이 좋은가? - 카테고리는 직관적인가? - 페이지별 이동 흐름은 자연스러운가?
  2. 보고서를 쓰듯 계획한다. : 비교하고 싶고, 보고서에 포함시키고 싶은 주요한 요소들을 결정한다.
  3. 알아낸 사실을 공유한다 : 공유 요약 문서는 이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깊이 논의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.
  4. 비교평가를 그룹활동으로 수행한다. : 각자가 생각하는 관련 웹사이트들을 가져오라고 하고 함께 모여 리뷰하고 중요한 트렌드에 대해 논의한다.
서비스 리서치 인쇄용 워크시트
다운로드
서비스 리서치 피그마 워크시트
바로가기
목록으로
공유하기